MI 리포트ESG

EU DPP 도입과 한국기업의 대응 방안ㅣ7월 MI리포트 ESG

2025.07.18

EU DPP 도입과 한국기업의 대응 방안

 

01. ESPR 발효와 DPP 의무화

02. 데이터스페이스 기반 DPP 운용 구조와 주요국 전략

03. 한국의 DPP 대응 및 데이터스페이스 현황

04.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오늘날 ESG는 기업 전체가 아닌 제품 단위로 측정되고 증명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24년 7월부터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규정(Ecodesign for Sustainable Products Regulation, ESPR)을 발효하며, 각 제품에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부착을 의무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제품에 대한 기술 사양, 소재 구성, 수리 이력, 탄소 배출 등 생애주기 기반의 정보를 제출하지 않는다면 유럽 시장 유통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모든 정보가 EU 데이터스페이스 체계 내에서 실시간 공유되고 관리된다는 점입니다. 기업은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민감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지만, 정보 주권은 온전히 지킬 수 없는 구조에 놓여 있습니다.

  현재 유럽은 배터리, 섬유, 철강, 알루미늄, 가구 등 산업별로 DPP 적용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일본은 자체 생태계를 구축해 데이터 주권과 국제 연동을 동시에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도 산업별 선제적 대응과 체계적 준비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디지털 제품 여권은 단순한 규제가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문턱입니다. 그 정밀한 대응 전략을 SK AX의 MI리포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AX 컨설팅부터 비즈니스 모델 발굴까지

Global Top 10 AX Service Company|SK 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