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엔터테인먼트의 미래, AI와 데이터가 답하다

2025.08.26

*이미지 출처: SM엔터테인먼트

  케이팝은 글로벌 팬덤을 기반으로 IP 비즈니스와 기술 융합 산업으로 발전하며, AI·버추얼 아티스트·메타버스 공연·팬 플랫폼을 아우르는 새로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에스파(aespa)는 버추얼 아바타와 메타버스 세계관을 결합해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아티스트 모델을 제시하며, 케이팝이 AI 기술 융합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글로벌 IP 산업화, 기술 융합, 팬덤 중심 구조, 지속가능성이라는 네 가지 큰 방향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콘텐츠는 기획 단계에서 글로벌 동시 제작·배급을 전제로 하며, IP는 음악·영상·게임·머천다이징 등으로 확장되어 멀티포맷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동시에 AI·VR·메타버스와 같은 기술은 제작과 소비 전 과정에 깊숙이 스며들며, 기술력이 곧 콘텐츠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오늘은 이런 변화 속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이끄는 주요 트렌드와 대표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엔터테인먼트를 바꾸는 주요 기술 트렌드

  AI와 데이터 기술은 아티스트, 콘텐츠 제작, 팬 경험 전반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이 어떤 구체적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는지 사례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① 버추얼 아티스트 : AI 음성합성과 메타버스의 결합

*출처: SM엔터테인먼트, 버추얼 아티스트 naevis

  AI를 활용한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아티스트 모델은 이미 실현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특히 에스파와 같은 세계관에서 등장한 naevis는 AI 음성 합성 기술을 기반으로 독립 싱글을 발표하며, 단순한 스토리 속 캐릭터가 아닌 실제 아티스트로 활동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다른 사례로 카카오엔터의 MAVE는 AI 합성음성과 메타버스 활동을 결합해 글로벌 팬덤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PLAVE는 실시간 모션캡처와 AI 기반 음성·표정 합성 기술을 활용해 팬과 실시간 교감하며, 2024년 Billboard Global 200 차트에 진입해 버추얼 아티스트가 주류 음악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버추얼 아티스트는 단순한 가상의 존재가 아니라, IP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아티스트 산업 모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언제든, 어떤 언어로든 활동이 가능한 이들의 등장은 제작사에는 글로벌 시장 공략과 리스크 분산을 가능하게 하고, 팬들에게는 전례 없는 몰입 경험을 제공하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가상의 아이돌이 현실 아이돌과 동등한 무게를 가지게 된 지금,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아티스트의 정의뿐 아니라 기술과 창작의 경계 자체를 새롭게 써 내려가고 있습니다.

 

 팬 경험 혁신 : AI·데이터·XR이 이끄는 변화

*출처: YG SELECT 공식 X, 블랙핑크 The Palace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팬 경험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AI·데이터·XR 기술을 기반으로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AI와 데이터 분석은 팬 경험을 초개인화하는 핵심입니다. 팬들의 스트리밍 기록, 구매 이력, 활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 굿즈, 이벤트 참여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팬덤 플랫폼은 원스톱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하이브의 자회사 플랫폼 Weverse는 개인화된 피드와 다국어 자막을 제공하며, 생성형 AI와 합성음성 기술을 통해 아티스트 아바타가 팬의 이름을 직접 불러주거나 취향에 맞는 대화를 생성하는 새로운 소통 방식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커뮤니티, 라이브 스트리밍, 다국어 번역, 굿즈 구매까지 통합 제공해 팬 활동의 편의성과 몰입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XR(eXtended Reality)과 메타버스(Metaverse)는 팬과 아티스트의 거리를 근본적으로 축소시키고 있습니다. SM의 Beyond LIVE는 다국어 채팅과 실시간 인터랙션을 통해 온라인 공연에도 현실 공연 못지않은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YG와 제휴한 Roblox의 BLACKPINK ‘The Palace’ 같은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팬들이 아바타로 참여해 공연 세계관을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이제 팬은 더 이상 무대를 바라보기만 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닙니다. 언어 장벽을 넘어 대화하고, 아바타로 함께 춤추며, VR 속 무대에 입장하는 순간 팬들은 아티스트와 같은 세계에 있다고 느낍니다. 결국 팬 경험 혁신의 본질은 얼마나 함께할 수 있는가에 있습니다. AI는 개인화를, 데이터는 정밀한 분석을, XR은 새로운 몰입을 제공하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③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 전환 : AI가 여는 다국어·무장벽 시대

*출처: BIGHIT MUSIC 홈페이지, Masquerade 앨범커버

  콘텐츠 제작의 패러다임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글로벌 진출을 위해 언어·현지화 작업에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들었지만, 이제는 AI가 그 장벽을 허물고 있습니다. 제작은 더 빨라지고, 도달 범위는 더 넓어지고 있습니다.

  하이브는 글로벌 아티스트 프로젝트 MIDNATT의 첫 음원인 ‘Masquerade’를 6개 언어 버전으로 동시 발매해, AI 기반 다국어 제작이 가져올 혁신을 보여줬습니다. 이는 자회사 Supertone의 기술이 적용되었는데, 단 10초의 음성 캡처만으로 새로운 음성을 합성하고 실시간 보컬 변환·다국어 TTS(Text-to-Speech)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아티스트가 언어와 음색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창작과 글로벌 활동을 실현할 수 있게 하며, 음악 산업의 유통과 팬 경험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이 흐름은 대중 크리에이터 영역으로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유튜브의 Aloud 기능은 영상을 자동 번역·더빙해 별도의 녹음이나 번역이 없이도 즉시 글로벌 유통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는 확산 속도를 가속화하고, 국가 간 콘텐츠 소비 격차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 청각장애 아티스트 Big Ocean JJ는 AI 발음·피치 보정 기술을 활용해 신곡을 완성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효율성 개선을 넘어, 신체적 제약을 가진 아티스트에게 새로운 창작 기회를 열어준 접근성 혁신으로 평가됩니다. 

  결국 핵심은 누구나 더 빠르고, 더 넓은 시장에 콘텐츠를 내놓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제작 효율성과 확장성이 결합되면서, 글로벌 동시 발매와 팬 접근성의 진입 장벽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④ 데이터 기반 팬덤 전략 : AI 분석 도구의 부상

*출처: 스페이스오디티 홈페이지, K-POP RADAR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팬덤은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행동 데이터로 읽히는 전략 자산으로 진화했습니다. 팬이 몇 명이냐가 아니라, 누가 언제, 어떤 콘텐츠에 반응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진 것입니다. 과거에는 음반 판매량이나 SNS 팔로워 수와 같은 지표로만 팬덤을 측정했지만, 이는 팬의 충성도와 실제 기여도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대표적 서비스가 스페이스오디티의 K-POP RADAR 2.0 입니다. 이 플랫폼은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팬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시각화하며, 충성 팬의 유입과 이탈 시점, 콘텐츠 공개 직후의 반응 곡선, 다중 팬덤 구조, 팬덤 이미지 포지션 변화까지 정밀하게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음반 발매와 투어 일정, 머천다이징 전략을 과학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팬덤 관리가 직관 중심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AI 분석 도구의 등장은 케이팝 산업 전반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남기고 있습니다. 팬덤을 데이터로 읽어내는 능력은 아티스트 활동과 브랜드 협업, 글로벌 전략을 보다 정밀하게 설계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으며, 제작사와 아티스트 모두에게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성과 혁신, 엔터테인먼트의 다음 단계

  AI와 디지털 전환(DX) 기술은 이제 아티스트의 창작 방식,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 팬 경험 전반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흐름을 발 빠르게 도입해 글로벌 사례를 실험하고, IP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동시에 기술이 확산될수록 저작권 보호와 윤리적 사용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어, 향후에는 AI 기반 창작·분석 기술과 더불어 윤리·저작권 관리 체계가 산업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 경쟁력은 기술 활용의 혁신성과 책임성을 얼마나 균형 있게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결국, 엔터 산업의 경쟁력은 팬의 정서적 몰입에 데이터 기반 기술 역량이 더해진 포괄적 지속 가능성으로 결정됩니다. SK AX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AX Service Partner로, 생성형 AI, 데이터 분석, MLOps 등 핵심 기술을 결합해 AI 역량을 빠르게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최고 수준의 AI전문가들과 축적된 비즈니스 경험을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AI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 전략을 함께 설계하고 실현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SK AX와 함께 다가올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대비해 보세요.

 


 

AX 컨설팅부터 비즈니스 모델 발굴까지

Global Top 10 AX Service Company|SK AX

 

#엔터테인먼트 #케이팝 #KPOP #버추얼 #버추얼아이돌 #팬덤 #아티스트 #콘텐츠 #데이터 #AI #XR #메타버스